iOS 버전의 원신에서 켜자마자 클립보드를 복사해갔다는 "Safari에서 붙여넣은 원신" 메시지가 뜬 이미지가 돌아다녔는데요. 이 메시지는 iOS 14에서 추가된 클립보드 관련 시스템 메시지로 어떤 앱이 다른데서 복사한 클립보드 내용을 자기 앱으로 가져갔음을 의미해요. 그리고 iOS 14부터 등장한 이 메시지를 통해 iOS의 여러 앱에서 클립보드를 복사해갔다는 것이 들통나 시끄러웠기도 했어요. 그러면 하나. 안드로이드나 PC판에도 그러지 않을까 싶어 불안감이 커지실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다행히 안드로이드에서는 안드로이드 10.0 (API 29) 부터 기본 키보드 외에는 포커스를 갖지 않은 백그라운드 앱이 클립보드를 읽어갈 수 없으니 기본적인 부분은 안심하셔도 되요. 그러면... 이번 경우처럼 포어그라운드, 현재 메인으로 띄워져있는 앱의 경우는 어떨까요? 아쉽게도 이에 대한 메시지(iOS처럼 "A앱에서 붙여넣은 B앱")나 이를 막는 제어 기능은 없더라구요. 😂😂 그렇다고 낙심하지 마세요. 3년전 xda 글 에 따르면 adb 명령을 통해 클립보드 접근을 제어할 수 있다고 하니까요. adb shell 을 실행하시려면 PC에서는 여기를 눌러 윈도, 맥, 리눅스 용으로 platform tools를 내려받아 실행할 수 있도록 압축을 풀어두셔야 하고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는 USB 디버깅을 켜두셔야 명령 실행이 가능해요. 이 부분은 검색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는데 대략적으로는 설정 앱의 기기 정보에서 '빌드 번호'를 8번 이상 누르고 화면 잠금(설정된 경우에만)을 풀어주시면 되요. 압축이 풀린 폴더에 명령 프롬프트를 여시면 되는데, 주소 표시창에서 cmd를 입력한 뒤 엔터를 누르시면 그 폴더의 자리의 명령 프롬프트가 열려 편해요. 그리고 한 번 클립보드 접근하는 앱이 얼마나 많은지 확인해볼까요. 개발자가 READ_CLIPBOARD 권한을 선언한 앱은 설치 후 이 권한이 자동으로 주어져요. 접근 허용된 앱> ad...
드로잉툴을 만들던 퓨처웨이브가 와콤의 공세로 웹에 눈을 돌려 출시한 FutureSplash Animator.
당시 Adobe는 거부했으나 MS가 활용하자 매크로미디어가 인수 후 오디오 싱크, 사진첨부/트레이싱, gotoAndPlay()같은 재생제어가 들어간 Flash 2가 1997년 출시되고 대세가 되었습니다.
이후 애니메이션과 코드를 엮는 꿈의 도구로 불리며 플래시로 컨텐츠가 많이 만들어지자 어도비는 매크로미디어를 360억달러에 사들였습니다.
그러나 점차 HTML과 CSS, JS가 강력해지자 웹에서 입지가 약해지고 3D 렌더링을 장착한 버전을 내놓았으나 모바일 채택이 무산되어 하락세를 겪게 되었습니다.
그중 한 일화는 스티브잡스가 맥OS 크래시를 가장 많이 일으키고, 멀티터치에 맞지 않으며, 한 기업이 모든걸 관장하는 브라우저 플러그인 기술인 플래시를 iOS에서 채택않기로 결정한 것이죠.
그리고 스티브잡스의 결정 이후 10년쯤 지난 2020년, 애니메이터와 기업 시장에서 플래시는 아직 살아있다고 글을 마무리.
제작 도구는 어도비 애니메이트로 살아 있을것이며, 플래시의 렌더링 엔진은 전자회사 하만(삼성이 인수함)에 넘겨질 '어도비 AIR'에 포함되어 유지보수될 것이고, 이 기술은 기업시장에서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도, 10년의 하락세를 지나, 우리가 아는 플래시는 작별이라 말해도 됩니다"
참고글/출처 원문 보기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20/07/the-rise-and-fall-of-adobe-flash/
트윗 타래 보기
https://twitter.com/LaruYan/status/1280496616886210564
----------------------------
2020-07-07
스티브잡스가 iOS에 플래시를 넣지 않겠다고 결정한 3~4년 뒤 공개된 안드로이드도 5.0 롤리팝에서 웹뷰 체계(웹앱 등지에서 쓰는 브라우저 모듈)가 크로미엄으로 바뀌며 4.4 킷캣을 끝으로 플래시 공식지원은 끊어졌습니다.
초반이야 성능이 안좋아서 플래시가 버벅이던 문제가 있었고 갈수록 기기 성능은 좋아져서 플래시를 더 쾌적하게 돌릴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버려져서 아쉽다는 생각도 들어요.
인기 있던 플러그인이었기에 취약점이 악용되는 사례도 많이 나왔고(국내에서도 클XX 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광고를 통한 랜섬웨어 전염 사례가 있었죠) 해서 PC 브라우저도 플래시를 버렸습니다. HTML5의 기술이 좋아지며 플래시 없이도 svg, css, js로 가능한 디자인이 가능해졌고 어도비 애프터이펙트에서 내보내기 해서 앱웹 할거없이 벡터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Lottie 도 나왔죠.
어도비는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종료를 앞두고 기존에 잘 작동하던 플래시 플레이어도 지원종료일 이후로는 작동하지 않게 했다고 합니다. 플래시로 만든 컨텐츠는 이대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걸까요. 웹 어셈블리 등으로 플레이어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들은 있다고 하나 플래시가 개발문서 지원이 약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네요.
---------------------------
2020-07-11
당시 Adobe는 거부했으나 MS가 활용하자 매크로미디어가 인수 후 오디오 싱크, 사진첨부/트레이싱, gotoAndPlay()같은 재생제어가 들어간 Flash 2가 1997년 출시되고 대세가 되었습니다.
이후 애니메이션과 코드를 엮는 꿈의 도구로 불리며 플래시로 컨텐츠가 많이 만들어지자 어도비는 매크로미디어를 360억달러에 사들였습니다.
그러나 점차 HTML과 CSS, JS가 강력해지자 웹에서 입지가 약해지고 3D 렌더링을 장착한 버전을 내놓았으나 모바일 채택이 무산되어 하락세를 겪게 되었습니다.
그중 한 일화는 스티브잡스가 맥OS 크래시를 가장 많이 일으키고, 멀티터치에 맞지 않으며, 한 기업이 모든걸 관장하는 브라우저 플러그인 기술인 플래시를 iOS에서 채택않기로 결정한 것이죠.
그리고 스티브잡스의 결정 이후 10년쯤 지난 2020년, 애니메이터와 기업 시장에서 플래시는 아직 살아있다고 글을 마무리.
제작 도구는 어도비 애니메이트로 살아 있을것이며, 플래시의 렌더링 엔진은 전자회사 하만(삼성이 인수함)에 넘겨질 '어도비 AIR'에 포함되어 유지보수될 것이고, 이 기술은 기업시장에서 여전히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그래도, 10년의 하락세를 지나, 우리가 아는 플래시는 작별이라 말해도 됩니다"
참고글/출처 원문 보기
https://arstechnica.com/information-technology/2020/07/the-rise-and-fall-of-adobe-flash/
트윗 타래 보기
https://twitter.com/LaruYan/status/1280496616886210564
----------------------------
2020-07-07
스티브잡스가 iOS에 플래시를 넣지 않겠다고 결정한 3~4년 뒤 공개된 안드로이드도 5.0 롤리팝에서 웹뷰 체계(웹앱 등지에서 쓰는 브라우저 모듈)가 크로미엄으로 바뀌며 4.4 킷캣을 끝으로 플래시 공식지원은 끊어졌습니다.
초반이야 성능이 안좋아서 플래시가 버벅이던 문제가 있었고 갈수록 기기 성능은 좋아져서 플래시를 더 쾌적하게 돌릴 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버려져서 아쉽다는 생각도 들어요.
인기 있던 플러그인이었기에 취약점이 악용되는 사례도 많이 나왔고(국내에서도 클XX 등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광고를 통한 랜섬웨어 전염 사례가 있었죠) 해서 PC 브라우저도 플래시를 버렸습니다. HTML5의 기술이 좋아지며 플래시 없이도 svg, css, js로 가능한 디자인이 가능해졌고 어도비 애프터이펙트에서 내보내기 해서 앱웹 할거없이 벡터 애니메이션을 적용하는 Lottie 도 나왔죠.
어도비는 플래시 플레이어 지원 종료를 앞두고 기존에 잘 작동하던 플래시 플레이어도 지원종료일 이후로는 작동하지 않게 했다고 합니다. 플래시로 만든 컨텐츠는 이대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걸까요. 웹 어셈블리 등으로 플레이어를 구현하는 프로젝트들은 있다고 하나 플래시가 개발문서 지원이 약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하네요.
---------------------------
2020-07-11
Comments
Post a Comment